클라우드22 리눅스, zookeeper 클러스터 구성하기 너무 복잡해서 kafka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끔 함. kafka가 죽어버리면.. 방법이 없음 따라서, kafka 클러스터 구성을 한다. zookeeper도 클러스터 구성을 한다. zookeeper 설치, kafka 설치 원래는 kafka 설치하면 zookeeper가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이번에는 따로 설정을 한다. 1. 가상머신 6대를 준비한다.(각 3대씩) 2. JDK를 다운받는다. yum -y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3. zookeeper stable 버전으로 다운받는다. wget https://dlcdn.apache.org/zookeeper/zookeeper-3.7.1/apache-zookeeper-3.7.1-bin.tar.gz 아래 링크.. 2023. 3. 21. AWS) CloudWatch를 통한 모니터링 & 메모리 지표 추가 후 모니터링 CloudWatch를 통해 AWS에서 이용하는 각종 서비스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EC2 인스턴스 클릭 > 모니터링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볼 수 있다. 이것 또한 CloudWatch 통해 보여지는 것 CloudWatch 대시보드 생성 > 행 > 지표 > EC2 > 인스턴스별 지표 > 메모리, 디스크, CPU 중요? > CPUUtilization 추가, 메모리에 대한 기본 제공 지표가 없음(왜인지는 모름) 대신, 수동으로 생성가능.. 실습) 암튼.. CPU 지표로 대시보드 생성하고, 해당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Stress를 주면, CPU 대시보드가 어떻게 출력되는지 확인해보자! putty로 EC2 인스턴스 퍼블릭 IP 입력, 키 입력 후 접속 > 'apt update' > 'apt install stre.. 2023. 3. 17. 비교) EC2 웹 서버 방식 vs S3 웹 서버 방식(서버리스) 어느 것이 더 좋을까? 정답은 ...없다! => EC2는 nginx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S3는 사용할 때만 요금을 낸다. 따라서, 게임 같이 24시간 내내 일정 사용자가 유지되는 서비스의 경우 EC2를 이용하는 게 나을 것이고,배달 주문 서비스처럼 특정 시간에만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서비스의 경우 S3를 이용하는 게 나을 것이다. 2023. 3. 15. AWS) S3를 통한 react build 배포 1. react) react 앱 프로젝트 하나를 만들고, 터미널에서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여 빌드 폴더를 만든다. npm run build 2. AWS S3) 생성된 build 폴더를 S3에 (수동으로) 업로드한다. build안의 파일들은 파일추가로, static폴더는 폴더추가로 업로드! (폴더 따로 생성해서 그 안에 업로드 했더니.. 404 에러 뜸..) 3. AWS S3) 버킷 > 속성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 편집을 누르면 다음과 같다. 활성화로 바꾸고, 인덱스 문서에는 메인페이지가 될 index.html을 입력하였다. 4. AWS S3) 완료를 하고 나오면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밑에 '버킷 웹 사이트 엔드포인트'에 접속한다. 5. 확인) 아래와 같이 React index 페이지가 잘 나오면 성공 2023. 3. 15.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