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AWS22 AWS) 장고에서 S3에 이미지 업로드하고 읽기 1. django) 장고를 설치하고, 앱과 템플릿을 생성한다. 추가로 DB(mySQL) 생성 및 연결도 했다. 2. django) 장고의 models.py에 아래의 코드를 작성한다. db에 image를 저장할 테이블 Picture 클래스 구조를 만든다. from django.db import models # Create your models here. class Picture(models.Model): img = models.ImageField(upload_to="", blank=True) ~~~그리고 마이그레이션 시키기~~~ 확인) mySQL workbench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picture이라는 테이블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g라는 속성도 잘 만들어져 있음. 3. django) 장.. 2023. 3. 15. AWS) 객체 스토리지 S3 버킷 생성 및 버킷 정책 편집을 통한 파일 권한 설정 EC2에 EBS도 있다. EBS는 블록 스토리지이다. EC2와 같이 컴퓨터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하드디스크 같은.. 폴더 안의 파일) S3은 객체 스토리지는 그러한 컴퓨터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객체 스토리지는 파일 저장이 폴더-파일의 구조가 아니라 수평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파일 시스템이 다르다. *파일시스템 : 파일을 어디에 어떻게 저장해 둘 것인가? (면접에서 많이 물어보는 것) 객체 스토리지 vs 파일 스토리지 vs 파일 시스템 aws의 S3에서 버킷을 만들어서 사용한다. 버킷이름(은 유일한 값이어야 함, ID같은 개념) > 소유권, ACL 생성 후 변경 가능, 그래서 그냥 넘어감 > 생성 실습) 버킷 생성 후, 아무거나 업로드(파일추가 or 폴.. 2023. 3. 15. 3계층 아키텍처 실습(with. AWS) 웹 서버 - WAS - DB 이 3계층 아키텍처를 구성해 볼 것이다. 웹 서버 : nginx - React 프로젝트(프론트엔드) WAS : Gunicorn , Django 프로젝트(백엔드) DB : mySQL(AWS의 RDS 사용) 1. AWS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2. nginx, gunicorn을 설치할 EC2 인스턴스를 각 1개 씩 해서 총 2개를 생성한다. apt install python3-pip 3. 장고 models.py에서 data 클래스를 작성한다. from django.db import models # Create your models here. class Data(models.Model): value = models.CharField(max_length=100) 4.. 2023. 3. 14. AWS를 이용한 여러가지 실습 탄력적 IP는 고정 공인 IP를 할당받는 것이다. EC2는 재부팅할 때마다 공인 IP가 바뀐다. 따라서 탄력적 IP를 EC2에 연결해놓고 사용한다. (연결을 안하면 요금 발생, 연결하면 요금 미발생) 배치그룹 = 랙장비의 배치 아파치 서버 설치 및 실행 sudo su - root apt update apt install apache2 systemctl restart apache2 systemctl enable apache2 vi /var/www/html/test.html : 웹 서버에 접속했을 때 test.html로 접근해서 출력시킬 수 있게 파일 만들기 이미지 생성 및 스냅샷 이미지 생성 > 스냅샷도 만들어짐 나중에 이미지로 가상머신 만들 수도 있음 *블록 스토리지 : 컴퓨터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 2023. 3. 1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