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5 리눅스에서 권한이란? 권한이란? 리눅스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권한을 통해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파일들의 읽기, 쓰기, 실행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한다. 명령어 'ls -l'을 입력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자는 해당 파일의 종류를 의미한다. 두 번째~ 열 번째 문자는 권한을 나타낸다. 두 번째부터 열 번째 문자는 3개씩 끊어읽는다. 띄어쓰기로 구분된 1, root, root는 각각 소유자, 관리그룹, 나머지이다.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 : 권한이 없음 따라서, 모든 권한이 있으면 'rwx'가 된다. 권한 설정 방법 간단한 문자로 설정하는 심볼릭 모드, 0~7까지의 숫자를 이용하는 옥텟(8진수)모드가 있다. 권한 설정 관련 명.. 2023. 2. 3. 리눅스 기초(2)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파일 내용에서 검색하기(뽑아보기) 파일에서 내용을 검색할 때 grep 명령어를 사용한다. 명령어 형식은 grep [옵션] [패턴] [파일 이름] 이다. 옵션은 좀 더 자세한 조건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패턴은 찾고 싶은 내용을 입력하면 그와 일치하는 내용을 출력한다. 정규표현식도 사용할 수 있다. 파일 이름은 패턴을 검색할 파일을 지정한다. 2023. 2. 2. 번외)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의미한다.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의 다양한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을 온디맨드(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로 제공)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가상화 iso 이미지 파일 : 물리적인 CD안에 들어있는 내용을 파일로 만든 것 2023. 2. 2. 리눅스 기초(1) - 리눅스란? 명령어 종류 리눅스는 운영체제의 한 종류이다. 윈도우와는 다르게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구글의 안드로이드도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든 것이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장치를 편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도구이다. 명령어(실행 프로그램)를 운영체제에게 전달해주는 것이 리눅스의 Shell, 윈도우에서는 탐색기이다.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외우는 것이 중요하다. 리눅스의 종류 우분투 : 개발자 또는 일반 유저가 사용하기 좋다. CentOS : 서버로 사용하기 좋다. 리눅스의 특징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계층적 파일 시스템이다. 리눅스는 파티션을 나누고 하드디스크를 추가해도 제일 취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한다. 이를 '/'이렇게 표시하고, root(루트)라고 한다. 파일 시스템과 포맷이란? 포맷은 파일 시스템을 다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파일 .. 2023. 2. 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