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AWS

AWS를 이용한 여러가지 실습

빈스터디 2023. 3. 13. 16:21

탄력적 IP는 고정 공인 IP를 할당받는 것이다.

EC2는 재부팅할 때마다 공인 IP가 바뀐다.

따라서 탄력적 IP를 EC2에 연결해놓고 사용한다.

(연결을 안하면 요금 발생, 연결하면 요금 미발생)

 

배치그룹 = 랙장비의 배치

 

아파치 서버 설치 및 실행

sudo su - root

apt update

apt install apache2

systemctl restart apache2

systemctl enable apache2

 

vi /var/www/html/test.html : 웹 서버에 접속했을 때 test.html로 접근해서 출력시킬 수 있게 파일 만들기

 

 

이미지 생성 및 스냅샷

이미지 생성 > 스냅샷도 만들어짐

나중에 이미지로 가상머신 만들 수도 있음

 

*블록 스토리지 : 컴퓨터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하드디스크

*객체 스토리지 : 컴퓨터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상의 저장 공간

 

 

파티션

 

파일 시스템

 

로드밸런서 생성

Application load balance > 보안그룹 80번 포트? > 리스너 (몇번 포트를 리슨하고 있을 것인가) > 대상그룹 만들기 > Instance, IP address, 람다함수, 로드밸런서 또올수도 있음 > 이 중 Instance 클릭, 이름은 my tg, / > 사용가능한 EC2 인스턴스(다 지워서 없을 거임) > 대상그룹 만들고 이제 만든 대상그룹 선택 > 나머지는 기본 값 

 

아파치가 설치되어 있는 인스턴스 2개 만들기

둘의 이니셜을 다르게 하기(페이지 구분)

대상그룹에 추가하기

 

로드밸런싱을 사용해서 접속할 때는 IP가 따로 있는게 아니라 DNS가 나온다.

 

 

Auto Scaling

시작구성 : 대상 그룹에 포함되게 설정

EC2를 하나 더 만드는 것과 비슷

EC2의 이미지를 생성 (AMI) > 추가구성, 스토리지는 기본값, 보안그룹은 기존, 키페어도 기존 > 기존 로드밸런서에 연결 > 그룹크기, 최소용량과 최대용량(대상그룹에 서버를 몇대 유지할 것인가), 원하는 용량 2, 최소는 2, 최대는 8 > 크기 조정 정책(특정 조건을 추가), 대상 추적 크기 조정 정책 : 평균 CPU 사용량으로 check 50%이상, 인스턴스 요구사항 60초 > 알람 그냥 다음 > 완료

 

 stress를 주니, 4개에서 5개로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정은 다음에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