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네트워크 이론

이론)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빈스터디 2023. 1. 26. 17:22

크기에 따른 네트워크

LAN,  WAN, VLAN 등으로 나뉜다.

 

LAN(Local Area Network)는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가까운 지역을 묶은 네트워크.

WAN(Widge Area Network)는 LAN과 LAN을 묶은, 더 큰 크기의 네트워크.

WAN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연결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대표적으로 Star형(성형), Mesh(망형)이 있다.

 

Star형은 중앙 장비(Core)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네트워크.

※ 중앙 장비가 고장나면 연결이 안됨

ex)집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

 

Mesh형은 여러 노드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

※ 주로 도나 시 정도의 큰 규모에서 사용

※ 노드 중 일부가 고장나도 연결됨

성형 네트워크 이미지
망형 네트워크 이미지


네트워크 통신방식

유니캐스트(1:1)

멀티캐스트(1:N)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 내의 모든대상)

 

통신은 주로 자신과 연결된 장비 1개. 즉, 1:1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니캐스트가 가장 중요하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양식, 약속(헤더라고도 함)

패킷: 계층별 프로토콜들이 캡슐화된 것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정리해보자면,

가까운 곳 - Ethernet 프로토콜 (MAC주소) 사용

멀리있는 곳 - ICMP, IPv4, ARP (IP주소) 사용

여러가지 프로그램 - TCP, UDP (포트번호) 사용

대략적인 패킷의 구조

예를 들어, 내 컴퓨터에 라인, 카카오톡으로 2개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내 컴퓨터의 카카오톡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다른 컴퓨터는 내 컴퓨터의 카카오톡 프로그램으로 정확히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컴퓨터는 패킷 내의 MAC주소와 IP주소로 내 컴퓨터를 찾고,

포트번호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요청한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통신에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공부하고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